성형기 주사바늘의 끝부분 확대

 

 

검은 원 = 피부조직, 녹색 원 = 미세 플라스틱 성형핀

성형기 주사를 찔러 미세 플라스틱을 주입하여 피부조직에 심는다.

문신을 세기는것처럼 반복하여 조직을 성형한다.

Posted by 마즈
,

리만 가설

카테고리 없음 2021. 4. 30. 14:49

임의의 변 C인 막대는 정중앙을 점으로 시작하여 회전한다.

이 중앙 점은 움직이며

막대의 양 끝은 A와 B이다.

회전할수록 CA와 CB는 크기가 바뀐다.

 

CA는 점점 커지며 CB는 그만큼 작아진다.

 

그래프는 원을 그리며

 

ABC는 항상 직선위에 존재한다.

 

 

 

 

 

 

 

Posted by 마즈
,

공동주택

 

인구의 밀집도가 높은 한국은

그 특성상 다른 나라에비해 빠르게 그리고 대규모로 아파트가 발달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최초의 아파트인 종암아파트

하지만 인구 밀집문제를 해결해줄 아파트의 첫 등장은 그다지 환영받지 못했다.

태초에 아파트가 제시된 첫 목적은 빈민가에 다량의 주거공간을 제공하는 것이였다. 이러한 아파트의 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한 한국 역시 마찬가지였다. 당시 전쟁이후 사회 혼란속에 생겨난 빈민들의 통제는 어려웠으며 그들에게 주거지를 제공하는것 또한 골치아픈 일이였다.

 

그렇게 한국에는 콘크리트로 기둥과 벽으로 가구와 가구를 나눌뿐인 단순한 구조인 통칭 1세대 아파트가 공급되기 시작한다.

 

 

 

 

베이비붐 세대, 밀레니엄 세대에 접어들면서 사람들은 급속도로 발달되는 기술에 미래에 긍정적 가치를 기대하는 한 편 과잉되어 밀집된 인구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생겼다.

또한 폐쇄적이고 지속된 사회, 도시생활은 국가 안에 또다른 집단사회를 이루기 시작한다.

 

마치 살아남기 위해 부족들이 모여 터를 가꾸고 마을을 만들어 차출된 남성들이 돌아가며 경비를 서던 원시부족처럼 말이다.

이같은 사회구성 욕구는 DNA 단에서 각인된 생존의 본성일지도 모른다.

 

 

아파트 경비실

 

그렇게 등장한게 1.5세대(가칭) 아파트이다.

더이상 빈민들의 주거공간이라는 개념에서 벗어나 개인 주차공간이 제공되고 아파트단지 주거자들의 자본으로 보안시설이 운영되기 시작한다.

 

 

 

 

아파트의 가구와 가구 그리고 경비와 연결해주는 인터폰의 등장

 

서울 목동아파트

또한 건축 기술의 발전으로 더 높아진 아파트는 단지에 ~수십세대에 이르던 가구수가 수백이 한 단지에 들어오게 되었다.

 

좁은공간에 더 많은 인구가 밀집가능하게되었고 그들의 소비활동을 충족시키기위해 아파트는 입주와 동시에 새로운 상권 형성의 중심이 되었다.

 

 

아파트 내에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것이다.

2세대 아파트의 등장이다.

 

 

상가와 일체형으로 지어진 진양아파트

 

 

Posted by 마즈
,